"부자는 불로소득으로 산다" 연령대별 '부자 DNA' 분석

젊은 시절에는 과감한 투자로 자신을 성장시키고, 중년 이후에는 안전 자산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노후를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17일 박승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이 발표한 '투자전략-부자의 기술' 리포트에서 "진정한 부자는 단순히 많은 돈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 불로소득으로 생활비를 충당하며 욕심을 부리지 않는 자제력을 가진 사람"이라고 정의했다. 이러한 기준에 부합하는 부자 가구는 전체의 1% 수준에 불과하다고 분석하며, 막연한 부의 축적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자산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 연구원은 "20대까지 받은 교육으로 형성된 인적 자본은 근로소득의 원천이 되고, 이를 모아 형성된 금융 자본은 재산소득의 기반이 된다"며 "각 시기별 목표와 상황에 맞는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30대를 '성장기'로 규정하며 "가장 수익률이 높은 투자는 바로 자신에 대한 투자"라고 강조했다. 젊은 시절 쌓은 전문성은 그 무엇보다 강력한 무형자산이 되며, 이는 높은 근로소득으로 이어져 자산 축적의 기반이 된다는 것이다.
40대는 경력과 소득이 정점에 달하는 시기로, 왕성한 경제활동을 통해 쌓은 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박 연구원은 "높은 소득과 자산만큼 부채 관리에도 신경 써야 한다"며 "세금 절세 전략을 수립하고, 다양한 분야의 경험과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50대는 소득은 유지되지만 지출이 감소하는 시기로, 금융 자산과 부동산을 통한 안정적인 자산 소득 확보가 중요하다. 박 연구원은 "50대는 투자 손실을 복구할 시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분산된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안전 자산에 집중하는 방어적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번 리포트는 단순히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투자 전략이 아닌, 연령대별 특징과 목표를 고려한 맞춤형 자산관리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특히 젊은 세대에게는 자신에 대한 투자를 강조하고, 중장년층에게는 안정적인 자산 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등 실질적인 조언을 담고 있어 투자자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